14조 4천억원, 서대구 역세권 개발 발표
2030년까지 민관공동 30만평 대개발
복합환승센터·문화시설, 첨단벤처밸리
역 주변 지역 98만㎡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향후 5년 묶어
대구시가 14조원을 들여 대대적으로 개발하겠다고 밝힌 서대구역세권 주변지역을 16일부터 토지거래 허가구역으로 지정했다.
이에 앞서 지난 9일, 대구시는 서대구역을 중심으로 역세권에 대한 종합적인 개발을 통해 서대구를 부활시키고 세계로 열린 미래경제도시로 도약시킬 “서대구 역세권 대개발 미래비전”을 발표했다.
시는 민간자본과 국·시비를 포함하여 14조 4천억원을 투자하여 서대구역 인근 약 30만평을 민관공동투자개발구역, 자력개발유도구역, 친환경정비구역으로 세분화하여 개발계획을 발표했다.
세부적으로 민관공동투자개발구역은 공공이 기반시설을 확충하고 민간자본투자를 통해 우선 집중적으로 개발되는 핵심구역으로 복합환승센터와 공연·문화시설이 집적화되고, 3개의 하·폐수처리장이 통합지하화되는 상부에는 친환경생태문화공원을 조성한다. 또한, 환경기초시설이 이전한 후적지는 첨단벤처밸리와 종합스포츠타운, 주상복합타운을 건설할 예정이다.
자력개발유도구역은 역주변을 민간주도로 자율적으로 개발하여 생활여가 및 주거기능으로, 친환경 정비구역은 지속적인 공공시설의 친환경적인 정비와 함께 2030년까지 이 시설들을 이전하고 민자유치를 통한 주상복합타운으로 개발할 계획이다.
시는 서대구 역세권을 대한민국 남부권 교통요충지로 만들기 위해 6개의 광역철도망 건설과 9개의 내부도로망을 확충하고 복합환승센터와 공항터미널을 건설한다.
광역철도망 건설은 6개사업 8조 1,326억원으로 현재 확정되어 추진중인 서대구역의 고속철도(KTX·SRT), 대구권 광역철도, 대구산업선과 함께 남부신경제권 구축을 위한 대구~광주 달빛내륙철도와 글로벌경제권을 구축할 통합신공항 연결철도가 추진된다. 이와 함께 서대구 역세권과 도시철도 1,2,3호선과 연결하는 신교통수단(트램) 건설을 시범사업으로 추진하게 된다.
내부도로망 확충은 매천대교~이현삼거리간 연결도로 등 9개사업 2,996억원으로 장래 역세권 개발에 맞춰 교통혼잡을 사전에 해소하고 내부 접근성도 개선할 계획이다. 현재 모래적치장 등 임시시설로 사용되는 서대구역 남측부지는 675억원을 투입하여 서대구 역세권을 상징할 수 있는 교통광장으로 조성된다.
또한, 6,700억원을 투자하여 복합환승센터, 공항터미널, 환승주차장을 도입하여 공항이용객과 철도·버스 및 승용차 이용객이 편리하게 환승할 수 있어 향상된 교통효율성으로 남부권 교통요충지로 자리매김한다.
혁신적인 환경정비를 위한 핵심사업으로 하·폐수처리장 통합지하화 사업은 노후된 달서천하수처리장, 북부하수처리장과 염색폐수1처리장과 2처리장이 북부하수처리장 위치로 통합지하화하여 하·폐수처리시설을 첨단화·현대화하고 상부는 친환경 생태문화공원으로 조성할 계획으로 약 6,000억원의 사업비가 투자되며, 금호강과 달서천 수변공간 조성과 연계하여 세계적인 수변생태 문화공간으로 만들어나갈 계획이다.
달서천 하수처리장과 염색폐수처리장이 이전한 후적지는 첨단벤처밸리, 종합스포츠타운이 건립되고, 주상복합타운으로 개발함으로써 민간투자의 사업성을 증대하면서 염색산단의 혁신을 유도할 계획이다.
서대구 역세권 개발지역을 거점으로 염색산업단지, 제3산업단지, 서대구 산업단지를 도심형 첨단산업밸리로 혁신한다. 염색산업단지는 친환경 염색산업, 제3산업단지는 로봇산업, 서대구 산업단지는 융·복합 스마트 섬유 클러스터 등 산업단지마다 특화하여 업종을 고도화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