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 돼지열병, 돼지고기 먹어도 되나요?
돼지 흑사병, 아프리카 돼지열병 대한민국 강타
지난해 중국을 휩쓸고 지나간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국내에서도 발견되면서 양돈농가에 비상이 걸렸다. 경기도 파주, 인천 강화도에서 발견된 아프리카돼지열병은 치사율이 100%에 달하기 때문에 전염성이 높고, 현재 치료제나 백신이 없어 상황이 더욱 심각하다. 또한,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의 생존력이 매우 높아 살처분한 돼지를 매몰하는 방법이 지금으로선 최선이다.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는 오염된 육류를 통한 감염이 가장 위험하다. 냉장육이나 냉동육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는 수개월에서 수년간 생존하기 때문에 오염된 육류를 반입해오는 것만으로도 바이러스 확산에 치명적이다.
가염 처리된 건조된 식육 산물에서도 수개월까지 바이러스가 생존 가능하고 육포처럼 훈제 건조된 육류에서도 바이러스가 남아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축산물의 반입은 주의해야 한다.
그럼, 사람의 돼지고기 섭취에는 인체에 무방한 것인지 궁금해진다. 결론부터 말하면 '인체에 무해하다'는 것이다. 아프리카돼지열병은 돼지과에 속하는 동물에만 감염이 된다. 인수공통감염병이 아니기 때문에 인체 감염 가능성은 없는 것이 특징이다.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산 방지를 위해서는 양돈농가의 방역도 중요하지만, 차량이나 돼지의 이동을 금지시켜야 한다. 특히 돼지를 음식물이 아닌 일반사료로 사육해야 한다. 또한, 야생 멧돼지의 농장 접근을 차단하고 아프리카발병지역으로 여행도 자제해야 한다. 양돈농가가 아닌 일반 국민들은 해외 축산물에 대해 반입을 중지하여야하며, 앞서 밝혔듯 건조 가공된 육류에도 바이러스가 생존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제품의 반입도 차단해야 한다.
'오피니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법률상담] 친고죄나 반의사불벌죄가 아닌 범죄에 대한 고소취소의 효력 (0) | 2019.10.29 |
---|---|
[법률상담] 영업양도인이 근처에서 상호만 바꾸어 다시 영업할 수 있는지 (0) | 2019.10.29 |
겨울철 인플루엔자 무료 예방접종 실시 (0) | 2019.10.29 |
자유한국당대구시당논평 (0) | 2019.10.21 |
[법률상식] 도난당한 자동차에 대한 자동차세의 부과가 정단한지 (0) | 2019.1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