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경제

교육기자재 구매, 지역기업 외면하는 시교육청

비슬신문 2020. 11. 25. 09:58
반응형

교육기자재 구매, 지역기업 외면하는 시교육청

강성환 시의원, 최근 5년간 신설학교 교육기자재 구매 현황 질타

 

대구광역시의회 교육위원회 강성환 의원(달성군1)은 지난 10일 대구시교육청을 대상으로 한 행정사무감사에서 대구시교육청이 최근 5년간 신설학교 교육기자재를 구입하면서 대구지역 중소기업 제품을 외면한 사실에 대해 강하게 질타하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개선책 마련을 촉구했다.

 

강성환 의원은 대구시교육청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에서 대구시교육청이 2016년부터 올해까지 5년 간 38개의 학교(15, 12, 8, 1, 각종 2)를 신설하면서, 공사에서는 지역 건설업체를 95% 넘게 선정하였지만, 교육기자재 구입에는 지역 중소업체 구매실적이 5%에도 못 미치는 실정이라며 지역경제 살리기에 무관심한 시 교육청을 질타했다.

 

강 의원은 지난 5년 간 총 210억 원의 교육기자재를 구매하면서 10억 원(4.9%)만 지역 중소업체를 이용하였는데, 20179.5%였던 비중이 해마다 감소하여 올해는 단 한 건의 실적조차 없다.”고 질책하면서, “신설학교 교육기자재 품목 중 지역업체 자체생산이 어려운 컴퓨터 등 정보화 및 사무기기를 제외하더라도 가구 및 책·걸상 등 집기류조차 지역 업체 구매실적이 전무한 수준이라며, “코로나19로 침체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서 교육청이 지역기업의 제품 구매에 앞장서서 나서야할 시기에 이러한 실적은 매우 실망스럽다.”고 밝혔다.

 

특히, 지역사회 공동체를 강조하며 교육수도 대구라고 자처하는 대구시교육청이 지역 소상공인의 생계와 직결되는 물품 구매조차 외면하고 있는 실정을 꼬집으면서,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 지원을 위해 창업자금, 대출이자 지원 등 금융지원을 강화하는 대구시의 정책과 대조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며 신랄하게 비판했다.

 

강성환 의원은 시교육청에서 소상공인을 위한 직접적인 지원 정책을 펼치진 못하더라도 물품 구매만큼은 지역 중소업체를 통해 이뤄져야 한다, “내년 신설학교 8개교(2, 2, 1, 2, 1)에 즉각적인 조치가 이뤄질 수 있도록 시교육청에서 적극적인 대책을 마련해주기 바란다.”고 주문하였다.

 

<최근 5년간 신설학교 교육기자재 구매금액 현황>

(단위 : 억원, , %)

구분

2016

2017

2018

2019

2020

합계

금액

품목

금액

품목

금액

품목

금액

품목

금액

품목

금액

품목

전체

113

111

41.6

80

34.4

49

12.3

17

8.7

14

210

271

대구

3.8

25

3.9

21

2.4

14

0.2

1

0

0

10.3

61

비율

3.4

22.5

9.4

26.3

7.0

28.6

1.6

5.9

0

0

4.9

22.5

구매금액 1,000만원 이상 기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