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배·할매 천왕님, 우리 마을 지켜주셔요.
설화리, 정월대보름날 천왕당 당산제 지내다!
정월대보름은 설, 단오, 추석, 동지와 함께 우리나라 5대 명절이다.
전통적인 농경사회였을 때는 한해 농사의 풍요와 안정을 기원하고 각 마을에서는 동제를 지내고 오곡밥에 묵은 나물, 부럼 깨기, 귀밝이술을 마셨고 집집마다 돌아다니며 복조리를 팔고 지신밟기를 했다. 시대가 변하면서 이러한 우리의 풍습이 점차 사라지고 있다.
특히 마을의 안녕을 비는 당산제가 사라지고 있어 안타까웠는데 화원읍 설화리(이장. 임이현)에서 그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는 소식을 듣고 찾아갔다.
동제(洞祭)는 마을을 지켜주는 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것을 지칭하는데 지역에 따라 산신, 서낭신, 용신, 천신 등이 그 대상이 된다.
설화리의 동제 대상은 천왕이다. 천왕은 할배 천왕과 할매 천왕이 있는데 함께 지내는 것이 아니라 각각 지내는 것이 특이하다. 할배 천왕이든 할매 천왕이든 천왕에게 제를 지내는 제주는 제를 지내기 보름 전부터 궂은일에 참석할 수 없고 수신(修身) 해야 하며, 열흘 전에 토종소나무 가지를 꺾어 마을회관 앞의 당산나무 주변과 마을회관 입구에 청솔가지를 꺾어 액을 막도록 해야 한다. 당산나무에는 일주일 전에 금줄을 친다.
이날 동제는 8시부터 진행되었다. 미리 준비한 제물을 챙겨 천왕당이 있는 고방산 중턱으로 올라간다. 그곳에는 할배 천왕을 모신 천왕당이 있다. 가져간 과일과 포를 천왕당에 차려놓고, 30여m 떨어진 산신당으로 올라가 산신에게 먼저 제를 지낸다. 말은 산신당이라고 하지만 천왕당처럼 건물이 있는 것이 아니라 바위와 바위 사이에 평평한 돌이 있을 뿐이다. 그곳을 제단으로 삼아 제물을 차리고 산신제를 지낸다. 산신에게 제를 지낸 뒤 천왕당으로 내려와 제주가 할배 천왕에게 고하는 축문을 읽으며 의식은 진행된다. 이때 직전 마을이장인 배정곤씨가 제주를 맡는다.
축문은 다음과 같다.
‘유세차 계묘년 정월 대보름을 맞이하여 유학 배정곤 삼가 천왕님께 고하나이다.
삼가 엎드려 비옵건데 부디 올 한해도 태평하고 질병과 재앙으로부터 마을을 지켜주시옵소서. 부디 만사형통하게 해주시고 소원 성취되길 간절히 바라오며 천왕님 전에 삼가 술과 음식을 올리오니 흠향하소서.‘
제를 지낸 뒤 대들보에 북어를 매달고 한지로 곱게 싸는 의식을 행한다. 북어는 액막이 용도다. 두 눈을 부릅뜨고 나쁜 기운과 액운을 감시하고 벌어진 입은 나쁜 것을 먹어치운다고 생각해서다. 이사한 집 현관 위에 북어를 매달아 두는 까닭도 그러한 연유에서다.
그 의식이 끝나면 준비해간 소지를 참여한 제꾼들에게 하나씩 나누어주고 소지하면서 소원을 빈다. 소지를 태우는 것으로 할배 천왕당에서의 동제는 모두 끝난다.
예전에는 천왕제를 지내는 사람들 10여 명이 소모임을 만들어 돌아가면서 제주를 맡았는데 이젠 다들 돌아가시고 1분만 남았다. 그래서 청년회에서 주축이 되어 직전 이장이 주관하여 지내게 되었다.
할매 천왕은 고방산 중턱에 모신 할배 천왕과 달리 마을회관에 모셔져 있다. 할매 천왕은 회관 앞에 있는 당산나무에서 지내다가 15여 년 전에 마을회관으로 옮겼다고 한다.
할배 천왕에게 제를 지낸 다음 제를 지냈다는 연락을 보내면 마을 회관에서는 그때부터 밥하고 음식을 준비하여 11시가 되면 할매 천왕에게 제를 올린다. 이때 제주는 마을 이장이다. 특이한 것은 할배 천왕의 제에 참석한 제주와 주민들은 할매 천왕을 모실 수 없다는 것이다. 이들은 마을회관으로 오지 않고 바로 집으로 가야 했다. 하지만 이 또한 시대의 변화로 할배 천왕에게 제를 지냈다고 하더라도 할매 천왕에게 절만 하지 않을 뿐 참석할 수 있도록 했다고 한다. 축문 또한 할배 천왕에게 올리는 내용과 다르지 않다.
할매 천왕에게 제를 지내기 전까지 시간적으로 여유가 있어 경로회원들이 북, 장구, 징, 꽹과리로 당산나무 주변을 돌며 흥겨운 한마당 풍악놀이를 했다. 이러한 풍악도 시대가 변하면서 소음공해라고 항의하는 이들이 없지 않아 마음 놓고 할 수도 없는 현실이 되었다.
김영오(81) 경로회장은“정월대보름이면 오곡밥을 먹고 집집마다 찾아가 풍악을 울리며 지신을 달래고 복을 비는 지신밟기를 했다. 서로 먼저 자기 집으로 오라고 술상까지 봐놓고 기다리곤 했는데 요즘은 풍악을 칠 수 없는 것은 물론이고 정월대보름도 모르고 지내는 사람들이 많아 안타깝다”고 말했다.
설화리라는 마을의 유래는 두 가지가 있다.
그 하나는 조선시대에 역(驛)이 있어 마필과 숙식을 제공하는 곳이었다. 역촌 마을이라 많은 사람들의 왕래로 주민들과 객(客)들 사이에 말싸움이 그치질 않았는데 지나가는 고승이‘싸움의 소지가 되는 말을 하고자 할 때는 밥을 먹는 수저를 그 무덤에 묻으라’는 비책을 전하고는 사라졌다고 한다. 그 후로 마을 계곡 안 중턱에 말(舌)무덤을 조성하여 지금까지 전해지고 있는데 일반인들이 보면 무덤인지조차도 모를 정도라고 한다. 다른 하나는 옛날부터 살구나무가 많아 봄이 되면 살구꽃이 휘날리는 눈과 같다고 해서 설화(雪花)라고 불렀다는 것이다.
설화리에는 긴 동산 고분군과 설화리 옥토 동산 고분군, 1.5km 떨어진 설화리 남쪽 고방산 정상 둘레에는 설화산성이 남아있으며 마을 가운데 역참의 옛터엔 1960년 초까지만 하더라도 역속들이 근무하는 건물들과 창고 등이 남아 있었다고 한다. 허나 지금은 그 자리에 농협창고가 들어섰으며 마을 바로 앞에는 아직도 넓은 관아의 마당이 변해 깐 마당이라는 곳이 남아 있으니 마을의 유래는 전자에 더 힘이 실리지 않을까 싶다.
설화리에는 120년 전통의 설화리 상여소리가 4대째 전승되어 한국민속예술축제에서 대구광역시 대표로 출전하여 다수의 수상실적을 내기도 했다. 뿐만 아니라 50여 년 전, 설화마을을 배경으로 설화리 부인회가 주축이 되어 촬영된 가족계획 홍보영화가 발굴되어 전국 방송이 된 귀한 자료도 있고 대구를 대표하는 가수 김광석의 외가가 있는 마을이기도 하다.
설화리는 2020년 현재 637가구에 주민 1170여 명이 살고 있으며 주민 참여 마을가꾸기 사업을 하여‘설화 1리 플라워가든’에 선정되어 동산골 살구꽃 만개한 전경, 마을 공동 샘 및 빨래터, 마을 중심으로 흐르는 큰 그랑 등의 그림을 그려 역사와 추억을 회상시켜주고 있다.
우남희 기자(Woo7959@daum.net)
'화원읍'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달성군보건소, 화원 신일해피트리꿈의숲 제20호 금연아파트로 지정 (0) | 2023.05.01 |
---|---|
학교폭력예방캠페인 연합아웃리치 진행, 달성군청소년상담복지센터, 달성中 졸업식 (0) | 2023.02.20 |
달성군 화원읍, ‘명곡숲 산림욕장’ 개장! (1) | 2023.01.25 |
달성군 보건소, 동절기 코로나19 추가예방접종 전통시장 캠페인 (0) | 2023.01.25 |
천내15리 할머니·할아버지가 취학아동에게 입학선물 전달 (0) | 2023.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