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최원관 2

정현초당(鼎鉉草堂) 팔경(八景)

정현초당(鼎鉉草堂) 팔경(八景) 정현초당(鼎鉉草堂)은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에 존재하였다. 일암 김용호(一菴 金容鎬, 1853~1924) 선생이 정현초당 8경을 노래한 것이다. 김일암 선생은 다사읍 매곡리 출신으로 1919년 3·1운동 이후 유림들이 파리 강화회의에 한국의 독립을 호소하는 “유림단파리장서운동(儒林團파리長書運動)”에 참여한 인물 137명 중에 한 분이시기도 하다. 1경은 琴湖明月(금호명월)로써 금호의 밝은 달을 노래하였다. 琴湖夜精鏡如明(금호야정경여명): 밤 금호강은 깨끗한 거울과 같이 맑고 一碧天光四聖平(일벽천광사성평): 하늘빛은 온통 푸르러 사성(四聖)이 평온하네. 水晶宮裏龍無事(수정궁리용무사): 수정 궁궐에서 용이 평온하니 臥弄驢珠動閃輕(와롱려주동섬경): 누워 노는 당나귀의 방울이 가볍..

오피니언 2020.09.14

금호선사선유도(琴湖仙査船遊圖)

금호선사선유도(琴湖仙査船遊圖) 금호선사선유도(琴湖仙査船遊圖)는 대구·경북 선비 23인이 1601년 3월 21일 대구시 달성군 다사읍 이천리(伊川里) 선사(仙査)에서 뱃놀이한 사실을 기념하기 위하여 남긴 기록물이다. 금호(琴湖)는 조선 시대의 하빈현(河濱縣)의 별칭(別稱)으로 현재 다사읍·하빈면 지역을 말한다. 선사는 현재 다사읍 이천리 이강서원(伊江書院)이 위치한 일대를 지칭하는 지명이다. 선유도(船遊圖)는 뱃놀이를 하는 것을 그린 그림을 말한다. 선사의 지명은 선사사(仙楂寺)에서 유래되었다. 선사사는 신라 대학자 고운 최치원(孤雲 崔致遠,857~?) 선생이 머물렀던 곳으로 세연지(洗硯池)·무릉교(武陵橋)·난가대(爛柯臺) 등이 있었다. 선사의 유래는 고운 선생과 관련이 있다. 고운(孤雲) 선생을 유교(儒..

오피니언 2020.07.3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