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대구~경산 40분대 생활권 된다…대구권 광역철도 2023년 개통
구미, 사곡(신설), 왜관, 서대구(신설), 대구, 동대구, 경산역
고속철도, 대구산업선, 광역철도 통과하는 서대구역 교통거점 역할
국토교통부는 최근 대구시·경상북도·철도공단·철도공사와 ‘경북 구미·칠곡~대구~경북 경산’을 잇는 대구권 광역철도 사업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고 5일 밝혔다.
2023년 대구권 광역철도가 개통되면 대구·경북권역이 40분대 단일 생활권으로 연결된다. 특히 서대구역은 광역철도 외에 KTX 고속철도·대구산업선과 함께 사용하는 허브 역사로 계획돼 향후 지역 교통거점역할을 담당할 전망이다.
대구권 광역철도는 기존 운영 중인 일반철도 선로를 개량해 전동차를 투입하는 비수도권 첫 번째 사업으로 총연장 61.8㎞ 구간에 구미, 사곡(신설), 왜관, 서대구(신설), 대구, 동대구, 경산역 등 7곳을 설치(개량) 한다. 총 사업비는 1천515억원이다.
하루 편도 61회 운행할 예정이며, 협약에 따라 국가(철도공단)는 광역철도를 건설하고 지자체는 차량소유와 운영손실금 등을 부담한다. 철도공사는 열차를 운행한다.
대구권 광역철도는 올해 본격적인 공사 진행과 함께 전동차량을 제작하고 2023년 상반기 준공 후 종합시험운전을 통해 2023년 말 개통할 계획이다.
김선태 국토부 철도국장은 “대구권 광역철도는 일반철도를 개량해 전동열차를 운영하는 고효율 사업으로 국가-지방자치단체-공사·공단 역할이 합리적으로 정립돼 원활한 사업추진이 기대된다”며 “국가 균형발전 측면에서 현재 계획돼 있는 충청권 광역철도 등을 포함해 수요가 있고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인 참여가 있으면 재정 당국과 협의 등을 거쳐 광역철도 사업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사회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합천창녕보 개방 반대하는 달성군 농민들 (0) | 2021.01.26 |
---|---|
대구달성산림조합, 소외 계층 위해사랑의 떡국 나눔 봉사 (0) | 2021.01.26 |
대학생들이 만든 달성군 관광 홍보 영상 효과 만점 (0) | 2021.01.25 |
달성소방서, 아파트 화재시 경량칸막이 이용하세요 (0) | 2021.01.25 |
달성군, 지역안전도 진단결과 최고등급 A 획득 (0) | 2021.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