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교통 2

서대구 톨게이트 ~ 금호분기점 경부선 방향상습 교통 지·정체 구간 확연히 달라져

서대구 톨게이트 ~ 금호분기점 경부선 방향 상습 교통 지·정체 구간 확연히 달라져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서대구 톨게이트 ~ 금호분기점 경부선 방향 1개 차로 확장·개통으로 상습 교통 지·정체 구간이던 서대구 톨게이트 주변 교통 흐름이 개선됐다. 서대구 톨게이트 ~ 금호분기점 경부선 방향은 중부내륙 고속도로지선 차량과 신천대로, 북비산로에서 고속도로로 진입 차량들이 몰려 짧은 구간에서의 차로변경과 교통 엇갈림으로 혼잡이 발생하는 만성적인 교통정체 구간이었다. 서대구 톨게이트 ~ 본선 합류부 구간은 7개 차로에서 2개 차로로 줄어들고, 중부내륙지선에서 경부선 이용차량은 430m의 단구간에서 무리한 우측 차로변경을 해야 함에 따라 엇갈림과 차량 엉킴, 접촉사고 등으로 차량 지·정체가 지속적으로 발생했다. 이를 ..

카테고리 없음 2022.01.07

구미~대구~경산 40분대 생활권 된다…대구권 광역철도 2023년 개통

구미~대구~경산 40분대 생활권 된다…대구권 광역철도 2023년 개통 구미, 사곡(신설), 왜관, 서대구(신설), 대구, 동대구, 경산역 고속철도, 대구산업선, 광역철도 통과하는 서대구역 교통거점 역할 국토교통부는 최근 대구시·경상북도·철도공단·철도공사와 ‘경북 구미·칠곡~대구~경북 경산’을 잇는 대구권 광역철도 사업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고 5일 밝혔다. 2023년 대구권 광역철도가 개통되면 대구·경북권역이 40분대 단일 생활권으로 연결된다. 특히 서대구역은 광역철도 외에 KTX 고속철도·대구산업선과 함께 사용하는 허브 역사로 계획돼 향후 지역 교통거점역할을 담당할 전망이다. 대구권 광역철도는 기존 운영 중인 일반철도 선로를 개량해 전동차를 투입하는 비수도권 첫 번째 사업으로 총연장 61.8㎞ 구간에 ..

사회경제 2021.01.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