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현풍향교 4

달성군의회, 현풍향교에서 추계 석전대제 봉행

달성군의회, 현풍향교에서 추계 석전대제 봉행 최재훈 군수 초헌관, 김은영 의장 아헌관  달성군의회(의장 김은영)는 9월 10일, 추석 명절을 앞두고 현풍향교 대성전에서 갑진년 추계 석전대제를 봉행했다. 이번 행사에는 지역 유림 등 80여 명이 참석했다. 석전대제는 공자를 모시는 사당인 문묘에서 지내는 제사 의식으로, 1986년 국가 중요무형문화재 제85호로 지정되었다. 현풍향교는 매년 봄과 가을에 공자를 비롯한 5성, 송조 4현, 동국 18현 등 옛 성현 27위의 학덕을 기리기 위해 제사를 지내고 있다. 이번 대제는 최상국 청년유도회장의 집례에 따라 초헌관은 최재훈 군수, 아헌관은 김은영 의장, 종헌관은 박경동 유림이 맡았다. 유교 제례순서인 전폐례, 헌례, 분헌례, 음복례, 망요례의 절차에 따라 진행됐..

교육문화 2024.09.10

제27회 달성군민의 날 기념 사직제 봉행

달성군민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 제27회 달성군민의 날 기념 사직제 봉행 현풍향교(전교 윤홍석)는 지난 10월8일 오전 10시 대구 현풍읍 상리 체육공원 내 달성군사직단에서 최재훈 달성군수, 서도원 달성군의회 의장, 달성유림(유도회장 곽기욱)을 비롯한 각 기관단체장 등 100여 명이 참관한 가운데 제27회 사직제를 봉행했다. 사직제는 예로부터 토지를 관장하는 사신(社神)과 곡식을 주관하는 직신(稷神)에게 백성들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기 위해 지낸 전통제례로, 제27회 달성군민의 날을 기념하기 위하여 거행되었다. 이날 사직제는 토지를 관장하는 사신과 곡식을 주관하는 직신에게 국가 대제로 제관으로 초헌관 최재훈 달성군수, 아헌관 서도원 달성군의회 의장, 종헌관 엄유환 달성문화원장, 집례 곽병근 현풍향교 의전수..

사회경제 2022.10.27

재미있는 유교 예절, 쉽게 배우는 제례의 멋!!전통예술의 수장 현풍향교 윤홍석 전교에 듣는다.

재미있는 유교 예절, 쉽게 배우는 제례의 멋!! 전통예술의 수장 현풍향교 윤홍석 전교에 듣는다. 향교(공립학교)는 고려시대에 향학으로 생겨나 조선시대에 있었던 국립 지방 교육기관으로 사부 학당 역할을 하였으며 조선 중기 이후 서원(사립학교)이 발달하여 기능이 약화되었지만 양립의 제도는 유지해 온 교육문화의 장이다. 유서 깊은 달성에 위치한 현풍향교는 옛 전통과 오랜 역사의 흔적을 간직하고 있다. 전국에서 으뜸가는 문화를 자랑하며 타지역에도 귀중한 예우를 받고 있지만 정작 우리의 뿌리를 계승할 젊은 꽃봉우리 세대는 향교의 전통의례나 인과 예를 수신하는 유학에 대해서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 우리의 예절, 윤홍석 전교에 듣는다. ▶안녕하십니까? 전통 예를 이끄는 선각자 앞에서 버릇없는 실수라도 할까 봐 긴장됩..

오피니언 2022.10.23

현풍향교, 공기 2573년 추기석전 봉행

현풍향교, 공기 2573년 추기석전 봉행 최재훈 군수, “달성군 번창과 군민의 평안” 달성군 현풍향교(전교 윤홍석)가 지난 1일 10시 최재훈 군수, 유도회달성지부(회장 곽기욱) 임원과 향교 임원, 현풍유림 등 70여 명이 참관한 가운데 공기 2573년 임인년 추기석전을 봉행했다. 이번 추기석전 초헌관 최재훈 달성군수, 아헌관 서도원 달성군의회 의장, 종헌관 엄인식 유림(전 장의), 동종분헌관 배수종 장의, 서종분헌관 권점용 장의, 대축 박동규장의, 집례 윤상백 교화수석장의, 찬창 곽병근 의전수석, 장생 정주식, 장찬 백채환, 알자 서정순, 찬인 박주곤, 봉향 곽상수, 봉로·봉작 차한용, 한임개, 곽병록, 곽동현, 사준 김영덕, 관세 최명자, 김경희, 척기 곽종해, 진설 김원호 등 향교 장의와 유림이 제..

정치행정 2022.09.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