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달성문화원 5

선조들의 지혜와 예술성을 부채에 담다열한 번째 부채 전시회 ‘夏風展’

선조들의 지혜와 예술성을 부채에 담다 열한 번째 부채 전시회 ‘夏風展’ 단오는 여름 초입의 명절로 예로부터 부채를 선물하는 풍습이 있었다. 대상에 따라 푸른빛의 부채를 주기도 하고 하얀 부채를 주기도 한다. 오늘날엔 원래의 기능으로 더위를 물리치기 위해 쓰이기도 하지만 작품으로 새롭게 선보이기도 한다. 달성문화원(원장. 백상천)에서는 지난 6월, 단오절을 앞두고 문화원 전시실에서『열한 번째 부채 전시회‘夏風展’』을 열었다. 이번 전시회는 금동효 한국화 화가에게 배움을 이어가고 있는 묵원회 회원들과 한국화반 수강생 등 40여 명이 150여 점의 작품을 출품했다. 날로 발전하는 문명의 이기 속에서 점차 잊히는 우리의 전통문화를 보존 전승하고, 지역의 명산인 비슬산을 배경으로 한 아름다운 풍경을 부채에 담아 ..

교육문화 2023.07.14

김치로 사랑을 베풀다㈜ 아라리농산 강종주 회장 -

김치로 사랑을 베풀다 ㈜ 아라리농산 강종주 회장 - 김장철이면 각계각층의 봉사단체에서 김장 나누기 행사를 진행한다. 하지만 여름철인 이맘때 즈음이면 그 김장 김치가 바닥을 드러낸다. 이럴 때 김치 선물은 여간 반가운 일이 아니다. 달성문화원(원장. 백상천)에서는 지난 6월 22일, 2023년 군민이 빛나는‘행복달성 문화지원사업’의 일환으로 문화원 주차장에서 사랑의 김치 나눔 행사를 가졌다. 행사는 달성문화원 백상천 원장과 ㈜ 아라리농산 강종주 회장이 상호 협약식을 갖고 사랑의 김치 5kg 1,250박스(3,000만원 상당)를 새마을지회, 장애인단체, 노인복지관, 자원봉사센터, 결손아동센터 등을 통해 9개 읍면의 취약계층 1,250세대에게 전달했다. 강종주 허금숙 ㈜ 아라리농산 대표는“고향을 떠나 객지에서..

사회경제 2023.07.13

달성문화원 높드리 풍물패 성금(30만원) 기탁

달성문화원 높드리 풍물패 성금(30만원) 기탁 달성문화원 높드리 풍물패(회장 박찬식)가 정월대보름 지신밟기 행사 때 모인 성금 30만원을 현풍읍 지역사회보장협의체에 기탁했다. 달성문화원 높드리 풍물패는 정원대보름을 맞아 마을의 안녕과 풍작 및 가정의 다복을 축원하고자 현풍읍 행정복지센터를 출발하여 현풍도깨비시장까지 8개소를 돌며 지신밟기를 실시하였으며, 행사 진행 시 모인 성금 중 일부를 관내 취약계층 지원을 위하여 현풍읍 지역사회보장협의체에 기탁했다. 박찬식 회장은 “현풍읍 모든 가가호호에 안녕을 기원하는 지신밟기를 진행하여 모인 성금이 관내 취약계층을 위하여 쓰이길 바란다.”고 말했다.

사회경제 2023.02.20

달성문화인들의 단합과 달성군과 소통과 협력 강조

달성문화원장에 백상천 前달성문화원 부원장 당선 달성문화인들의 단합과 달성군과 소통과 협력 강조 지난 1월 13일 달성문화원장 선거에서 백상천 후보가 51.7%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3명의 후보가 경쟁한 문화원장 선거에서 과반 이상을 득표한 백상천 당선인은 가장 먼저 “달성문화원의 단합”을 강조하며, “달성군청과도 적극적인 소통과 협력을 통해 달성의 문화예술인과 지역 주민들에게 문화생활을 통한 공동체 지향을 구축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며 당선소감을 말했다. 또한, 백 당선자는 “많은 우리 회원분들의 격려와 응원으로 당선이 되었기에, 앞으로 오로지 여러분을 사랑하며 지역을 위해 헌신하겠다”라고 강조했다. 한편, 백상천 당선인은 구지초·중등학교를 졸업하고 달성문화원 운영위원장과 부원장을 역임했다. 김장..

사회경제 2023.01.25

달성문화원 리모델링 재개관…업무 돌입

달성문화원 리모델링 재개관…업무 돌입 예비문화도시 달성 문화거점 기대 달성문화원이 1년여간의 리모델링 공사를 끝내고, 지난 26일 개관식을 개최하고 본격적인 지역 문화예술업무에 돌입했다. 현풍읍 상리에 위치한 달성문화원은 지난 2018년 문화체육관광부 생활SOC 사업공모 대상으로 선정돼지난해 6월 착공해 12월 준공했다. 총사업비 20억원이 투입됐으며, 부지면적 1만15㎡, 연면적 2천171㎡, 지하 1층, 지상 2층으로 이뤄져 있다. 주요시설로는 190석 규모의 공연장, 전시실을 비롯해 다목적실, 소강의실 3개소, 대강의실 1개소, 컴퓨터실 등이 있다. 김문오 군수는 “2004년 현 문화원사 개관 이후 지역주민들을 위한 다양한 문화공간으로 활용돼 온 달성문화원이 이제 새롭게 리모델링을 거쳐 지역 문화예..

사회경제 2021.02.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