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우리나라에서 처음 만든 자동차는 ‘포니’다?

비슬신문 2016. 10. 13. 10:24
반응형

상식의 반전

우리나라에서 처음 만든 자동차는 포니?

 

현대 사회에서 자동차는 단순한 교통수단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소비자를 유혹하는 자동차 회사의 신모델 경쟁이 갈수록 뜨겁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현대·기아, 쉐보레, 르노삼성, 쌍용 등 국내 완성차와 벤츠, 도요타, 혼다, BMW 등 외제차가 벌이는 한판 승부는 가히 전차(全車)대전이라 부를 만큼 경쟁이 치열하다.

 

우리나라에서 처음 달린 자동차는 포드 A형 리무진이다. 이른바 어차(御車)’. 고종 황제(1852~1919) 즉위 40주년을 기념해 1903년 의전용으로 미국 공관을 통해 들여왔다. 포드는 2인승으로 작고 소음이 심했다. 그런데 어차는 황제가 차를 타는 것이 경망스럽다고 해서 궁궐의 구경거리로 전락했다. 결국 러일전쟁의 와중에 소실되고 만다.

 

1955년 전쟁의 폐허 속에서 한국인의 손으로 만든 최초의 자동차가 출시됐다. 바로 시발(始發)’이다. ‘始發은 자동차 생산의 시작이라는 의미다. 한글로는 -로 표기했다. 시발은 지프형 6인승으로 배기량 2195cc에 최고 시속 80km로 달렸다. 큰 엔진을 달기는 했지만 그다지 빠르지는 않았다.

 

시발은 서울에서 자동차 정비업을 하던 국제 차량 제작의 창업자인 최무성, 혜성, 순성 등 3형제에 의해 개발돼 19558월부터 19635월까지 생산했다. 시발은 수제(手製) 승용차였다. 미군으로부터 불하 받은 지프 엔진과 변속기에 드럼통을 두들겨 펴서 만든 차체를 조립하는 식이었다. 주요 부품을 미국 차량에서 가져왔지만 국산차 원조로 보는 이유가 있다. 실린더 헤드 등 엔진 부품을 한국 기술자가 공작기계로 깎아 만들었기 때문이다. 국산화율이 약 50% 정도 된다. 이런 제조 방식 때문에 시발차 한 대를 만드는 데 4개월이 걸렸다.

 

시발은 195510월에 열린 광복 10주년 기념 산업박람회에서 최우수 상품과 대통령상을 차지하면서 이목을 끌었다. 시발의 인기는 폭발적이었다. 처음엔 8만 환 정도 하던 차량 가격이 1년 뒤에는 택시회사들이 관심을 가지면서 30만 환대로 치솟았다. 선금을 받고 주문을 받은 선약금만도 1억 환이 넘었다. 심지어 프리미엄을 붙여 팔려고 부유층 부녀들 사이에는 시발계()’까지 등장했다. 1957년에는 9인승 시발 세단도 출시됐다. 6기통 엔진을 얹은 정원 9인승 차로 가격은 대당 270만 원 정도였다. 이처럼 시발이 인기를 끌자 버스, 트럭, 트랙터 제작에도 손을 뻗었다. ‘시발 택시는 전국을 누볐다.

 

지금과 비교하면 중고차 조립 수준에도 못 미치지만 당시에는 획기적인 선풍을 일으켰다. 하지만 거기까지였다. 정부 보조금이 끊기고, 일본산 승용차 수입이 허용되면서 시발은 추락의 길을 걸었다. 결국 닛산의 블루버드가 새나라 자동차라는 이름으로 수입되면서 단종됐다. 시발은 회사가 문을 닫을 때까지 약 3000여 대가량 팔렸다.

 

우리가 만든 고유의 모델이 등장하기까지는 10년의 세월이 더 걸렸다. 1976, 국산 모델 1호인 포니1’이 드디어 세상에 모습을 드러냈다. 이전까지 신진자동차 등에서 생산한 블루버드, 코로나, 크라운, 코티나 등은 외국 모델을 국내에서 조립한 것이었다.

 

포니의 개발 이면에는 정주영(1915~2001) 전 현대그룹 회장의 불같은 의지가 있었다. 정주영 회장이 1974년 국산차를 만들어 수출하겠다고 선언했을 때 선진국에서는 코웃음을 쳤다. 2만여 개의 부품이 들어가는 종합 기계산업인 자동차를 후진국인 한국에서 독자적으로 생산하겠다고 했으니 당연한 반응이었다. 하지만 정주영 회장은 보란 듯이 포니(1300cc) 개발에 성공했다.

 

포니의 개발로 한국은 세계에서 열여섯 번째, 아시아에서는 일본에 이어 두 번째로 고유 모델을 생산하는 나라가 됐다. 또 포니는 국산 1호 수출차로도 이름을 올렸다. 판매 첫해에 1726(대당 227만여 원)가 팔려나가 국내 시장의 43%가량을 휩쓸고, 6월에는 에콰도르에 6대를 처녀 수출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