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궁금증이 상식이 된다】-‘지하철의 역사’

비슬신문 2016. 9. 9. 15:00
반응형

궁금증이 상식이 된다-‘지하철의 역사

-세계 최초의 지하철은 런던에서 시작···한국은 74815일 서울역~청량리 구간

-대구지하철 1호선은 971126일 최초 개통···가스폭발, 대형화재사고 등 불명예 기록

 

98일 달성군 화원읍민들의 숙원인 도시철도 1호선 서편구간 화원역, 설화명곡역이 역사적인 개통을 했다. 이번 연장 개통으로 화원읍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과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크게 기여할 전망이다.

 

그러면 지하철은 언제부터 생겨난 것일까. 궁금해진다. 세계 최초의 지하철도는 1863110일 영국 런던의 Farlington StreetBishop’RoadPaddington 6.0 km 구간에 개통되어 증기기관차로 운영되었으며, 1890년 전기철도 방식이 탄생하였다. 그 후 제1차 세계대전이 일어난 1914년에 전세계의 여러 도시에서 지하철도 건설붐이 일어났다.

 

유럽 대륙에서 최초의 지하철도는 1896년 부다페스트에서 개통되었으며 뒤이어 1898년 빈, 1900년 파리, 1902년 베를린, 1906년 함부르크에서 개통되었다. 미국에서 최초의 지하철도는 1901년 보스턴이며, 뉴욕의 지하철은 1904년에 개통되었다. 그리고 남아메리카에서는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1913년 개통되었다. 이상의 모든 도시들은 오스트리아의 빈을 제외하고 모두 개통 초기부터 전기철도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한국 최초의 지하철은 서울시 지하철 1호선 서울역~청량리 7.8km 구간으로서 1971412일 착공하여 1974815일 개통하였으며 이는 세계 최초 지하철 개통 후 약 110년 만의 일이다.

 

대구지하철 1호선은 199112월에 착공하여 19971126일에 진천중앙로 간의 10.3구간에 대하여 부분 개통을 시작하였다. 199852일에 진천~안심 간의 24.9전구간이 개통되었으며 20025월에는 남쪽구간 진천~대곡이 연장되어 운행 중에 있다. 현재 대구지하철 1호선은 201698일 서편연장구간 화원역, 설화명곡역이 개통되어 총 32개 역이 운행하고 있다.

 

대구지하철 2호선은 대구시 서부에서 도심을 거쳐 대구의 동남부를 연결하는 노선으로 199612월에 착공하여 20051018일에 문양~사월 간의 28.0전구간이 개통되었다. 20076월에는 대구 동남부의 경산시에 3개역을 신설하였다. 이후 사월영남대 간의 3.3구간을 연장하는 공사가 시작되었으며, 20129월에 완공되어 전구간이 개통되었다. 노선에는 모두 26개의 역이 운영되고 있다.

 

2009517일 대구도시철도 3호선 칠곡경대병원~용지 구간이 착공되었다. 3호선은 경량전철로 운행되며 총연장 23.9530개의 역이 건설되어 2015423일 전구간이 개통되었다. 대구도시철도 3호선은 모노레일형 도시철도로 하늘열차(Sky Rail)라 불리운다.

 

대구에서의 지하철 건설 계획은 1985년 대구시 교통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에서 지하철 건설의 필요성이 제기된 이후 19899월에 대구시 지하철 기획단이 설치되었고, 19891990년의 건설 계획 타당성 조사를 거쳐 19911월에 건설 및 운영의 기본 계획이 확정되었다. 이와 같은 계획은 단핵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대구의 도심으로 집중되는 인구와 교통혼잡의 문제를 해결하고 통행 시간 단축에 따른 생산성 향상, 차량 대수의 감소와 에너지 절약, 지역 개발 촉진, 환경오염 악화방지, 도시 미관 향상, 도시 활동 거리의 확대, 수송 능력의 대량화 등을 비롯하여 안전성, 쾌적성, 정시성 등의 측면에서 수립되었다.

 

대구지하철에서는 대형사고가 두 차례 있었다. 첫 번째는 지하철 건설공사가 한창이던 1995428일에 상인동에서 신축공사를 하던 중 파손된 도시가스관에서 유출된 가스가 하수관을 통해 지하철 공사장으로 유입되었다가 원인불명의 화인으로 도시가스가 폭발한 사고이다. 이 사고로 101명이 사망하고 145명이 부상하였다. 그리고 2003218일에는 대구지하철 1호선 중앙로역에서 정신질환이 있는 50대 남성의 방화로 화재가 발생하여 192명이 사망하고 148명이 부상한 대형사고가 있었다.

 

윤정 기자

 

 

반응형